Python
연산자 2 - 대입연산자
연산자 2 - 대입연산자
안녕하세요.
이번엔 대입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변수에 값을 대입할 때 사용했던 = 가 대입연산자 중 하나입니다.
그 외에도 사칙 연산자와 결합하여 대입할 때 사용됩니다.
이미 변수에 어떠한 수를 대입한 상태에서 연산을 할 때 이 대입연산자를 사용하면 좀 더 코드를 줄일 수 있습니다.
앞에서도 했지만 우선 대입연산자를 한번 더 해보겠습니다.
변수에 값을 대입할 때 사용합니다.
대입 연산자 = 사용하기
변수에 값을 대입할 때 사용합니다.
myNum = 5
위와 같이 변수에 값 5를 대입합니다.
myNum = 5 print(myNum)

결과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사칙연산에 대입연산자를 붙인 기호들을 사용해 볼게요.
대입 연산자 += 사용하기
위의 변수 myNum의 값에 5를 더한다면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습니다.
myNum = 5 myNum = myNum + 5
기존의 값에 5를 더하려면 위와 같이 할 수 있지만 +=를 사용해서 기존 대입된 값에 5를 더할 수 있습니다.
myNum = 5 myNum += 5 print(myNum)

결과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굳이 myNum = myNum + 5 이렇게 하지 않고 myNum += 5 이렇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변수 myNum의 값은 10이 됩니다.
이제부터는 다 똑같습니다. -=, *=, /=
대입 연산자 -= 사용하기
기존 대입된 값에 어떤 수를 뺄셈하려면 -=
myNum = 5 myNum -= 5 print(myNum)

결과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5에 5를 뺀 값 0 myNum에 대입되었습니다.
대입 연산자 *= 사용하기
기존 대입된 값에 어떤 수를 곱한 값을 대입하려면 *=를 사용합니다.
myNum = 5 myNum *= 5 print(myNum)

결과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5에 5를 곱해서 25가 myNum에 대입되었습니다.
대입 연산자 /= 사용하기
기존 대입된 값에 어떤 수를 나눈 값을 대입하려면 /=를 사용합니다.
myNum = 5 myNum /= 5 print(myNum)

결과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5를 5로 나눈 값인 1.0이 변수 myNum에 대입되었습니다.
1이 나올 줄 알았는데 1.0이 대입됩니다. 이것은 파이썬은 특징인가봅니다.
이때 이 값의 데이터형은 float 즉 실수이므로 정수여야한다면 형변환을 해야합니다.
형변환은 나중에 알아보겠습니다.
대입 연산자 %= 사용하기
기존 대입된 값에 어떤 수를 나눈 값의 나머지를 대입하려면 %=를 사용합니다.
myNum = 11 myNum %= 3 print(myNum)

결과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1을 으로 나눈 값의 나머지인 2가 변수 myNum에 대입되었습니다.
대입 연산자 **= 사용하기
기존 대입된 값에 어떤 수를 지수승한 값을 대입하려면 **=를 사용합니다.
myNum = 2 myNum **= 26 print(myNum)

결과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를 26회 곱한 값인 67108864가 변수 myNum에 대입되었습니다.
//=$langList['bottomThankyou'][$langM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