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연산자 3 - 비교연산자
연산자 3 - 비교연산자
안녕하세요.
이번엔 비교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비교연산자라고도 부르고 관계연산자라고 부르기도합니다.
2개의 값을 비교할 때 사용합니다.
앞에서 우리는 불린형 데이터 타입에 대해서 학습했습니다.
이 비교 연산자를 사용하면 불린형 데이터를 반환합니다.
비교 연산자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하나씩 알아봅시다.
비교 연산자 == 사용하기
==
이것은 서로의 값이 같으면 True(참), 다르면 False(거짓)을 표시합니다.
즉 변수a와 변수 b를 == 로 비교하여 서로 값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반환합니다.
myNumA = 12 myNumB = 12 print(myNumA == myNumB)

결과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과를 보면 True가 나타납니다. 변수 myNumA와 변수 myNumB의 값이 서로 같기 때문입니다.
이번엔 다른 값을 대입해서 결과를 보겠습니다.
myNumA = 12 myNumB = 13 print(myNumA == myNumB)

결과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과를 보면 False가 나타납니다. 변수 myNumA와 변수 myNumB의 값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비교 연산자 != 사용하기
!=
이것은 ==와 반대입니다.
서로의 값이 같으면 False(거짓), 다르면 True(참)을 표시합니다.
즉 변수a와 변수 b를 != 로 비교하여 서로 값이 같으면 False, 다르면 True를 반환합니다.
myNumA = 12 myNumB = 12 print(myNumA != myNumB)

결과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과를 보면 False 나타납니다. 변수 myNumA와 변수 myNumB의 값이 서로 같기 때문입니다.
이번엔 다른 값을 대입해서 결과를 보겠습니다.
myNumA = 12 myNumB = 13 print(myNumA != myNumB)

결과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과를 보면 True가 나타납니다. 변수 myNumA와 변수 myNumB의 값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비교 연산자 > 사용하기
>
>는 왼쪽에 있는 값이 오른쪽보다 크면 True,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합니다.
즉 식이 (변수a > 변수b) 이런 경우에 변수a의 값이 변수b보다 크면 True를 반환하며 변수b의 값이 a와 같거나 더 크면 False를 반환합니다.
myNumA = 12 myNumB = 12 print(myNumA > myNumB)

결과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과를 보면 False 나타납니다. 변수 myNumA와 변수 myNumB의 값이 서로 같기 때문입니다.
이번엔 myNumA의 값을 더 큰 값으로 대입해서 결과를 보겠습니다.
myNumA = 13 myNumB = 12 print(myNumA > myNumB)

결과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과를 보면 True가 나타납니다. 변수 myNumA의 값이 변수 myNumB의 값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비교 연산자 < 사용하기
<
<는 오른쪽에 있는 값이 왼쪽보다 크면 True,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합니다.
즉 식이 (변수a < 변수b) 이런 경우에 변수b의 값이 변수a보다 크면 True를 반환하며 변수b의 값이 a와 같거나 작으면 False를 반환합니다.
myNumA = 12 myNumB = 12 print(myNumA < myNumB)

결과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과를 보면 False 나타납니다. 변수 myNumA와 변수 myNumB의 값이 서로 같기 때문입니다.
이번엔 myNumB의 값을 더 큰 값으로 대입해서 결과를 보겠습니다.
myNumA = 13 myNumB = 14 print(myNumA < myNumB)

결과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과를 보면 True가 나타납니다. 변수 myNumB의 값이 변수 myNumA의 값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비교 연산자 >= 사용하기
>=
>=는 왼쪽에 있는 값이 오른쪽의 값보다 크거나 또는 같으면 True,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합니다.
즉 식이 (변수a >= 변수b) 이런 경우에 변수a의 값이 변수b보다 크면 True, 같으면 True, 변수b의 값이 변수a보다 크면 False를 반환합니다.
myNumA = 12 myNumB = 12 print(myNumA >= myNumB)

결과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과를 보면 True가 나타납니다. 변수 myNumA와 변수 myNumB의 값이 서로 같기 때문입니다.
이번엔 myNumA의 값을 변수 myNumA보다 더 작은 값으로 대입해서 결과를 보겠습니다.
myNumA = 13 myNumB = 14 print(myNumA >= myNumB)

결과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과를 보면 True가 나타납니다. 변수 myNumB의 값이 변수 myNumA의 값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자 이제 마지막입니다. 아 비슷한 기호들 갖고 글쓰고 코드 넣고 캡쳐하고 머리가 아픕니다. ㅜㅜ
지금은 사람이 별로 안오는 사이트지만 그래도 한 때 하루 200명 오던 사이트가 지금은 3000명 가까이 오고 있습니다.
계속하다보면 언젠가 하루 1만명을 넘어 10만명 오는 사이트가 될거라 믿고 계속 할 생각입니다.
비교 연산자 <= 사용하기
<=
<=는 오른쪽에 있는 값이 왼쪽보다 크면 True, 같아도 True, 작으면 False를 반환합니다.
즉 식이 (변수a <= 변수b) 이런 경우에 변수b의 값이 변수a보다 크거나 같으면 True를 반환하며 변수b의 값이 변수a보다 작으면 False를 반환합니다.
myNumA = 12 myNumB = 12 print(myNumA <= myNumB)

결과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과를 보면 True 나타납니다. 변수 myNumA와 변수 myNumB의 값이 서로 같기 때문입니다.
이번엔 myNumA의 값을 더 큰 값으로 대입해서 결과를 보겠습니다.
myNumA = 13 myNumB = 12 print(myNumA <= myNumB)

결과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과를 보면 False가 나타납니다. 변수 myNumA의 값이 변수 myNumB의 값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비교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비교 연산자를 사용한 식을 사용하면 True, False를 반환하죠.
이 식 자체를 변수에 대입하면 True나 False가 그 변수에도 대입이 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논리연산자에 대해 알아봅시다.
//=$langList['bottomThankyou'][$langM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