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GitHub 원격저장소 만들기
GitHub 원격저장소 만들기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GitHub를 가입하고 리포지터리(원격저장소 - 코드를 저장할 곳)를 만들겠습니다.
GitHub 가입하기
다음의 링크를 클릭해서 GitHub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Go To GitHub Site그럼 다음의 사이트가 뜰거에요.

[Sign Up]를 눌러 회원가입합니다.
회원가입이 끝났으면 다음의 화면이 나타납니다.
(안 나타나면 로그아웃 후 다시 로그인하면 다음의 화면이 나타납니다.)

위 이미지에서 왼쪽에 있는 [Create a repository]를 클릭합니다. 이것은 여러분의 원격저장소(리포지토리 - 소스를 저장할 공간)을 만드는 작업입니다.
다음의 화면이 나타납니다.

Repository name는 원격저장소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pinkcoding을 입력합니다.
Description는 설명을 입력합니다. 옵션이므로 입력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저는 입력하지 않겠습니다.
Public과 Private가 보입니다.
이것은 리포지토리(원격저장소)를 공개형으로 만들것인지 비공개형으로 만들것인지입니다.
공개형은 말 그대로 타인이 자신의 코드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 회사의 프로젝트라던가 또는 타인이 보면 좋지않은 정보가 있다거나하면 비공개형으로 만듭니다.
여기서는 학습용으로 사용하고 중요한 정보를 사용하지 않기때문에 공개형으로 만들겠습니다.
Add a README file은 자신의 리포지토리에 대한 설명이나 읽어야할 사항등을 적는것입니다. 저는 체크하지 않겠습니다.
Add .gitignore는 버젼관리를 하지 않을 파일을 적습니다. 이것은 나중에 사용하겠습니다. 지금은 체크하지 않습니다.
Choose a license
자신이 사용하는 코드의 라이센스에 대한 정보를 추가합니다. 여기서는 어떠한 것도 사용하지 않으므로 체크하지 않습니다.

[Create repository]를 클릭합니다.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성공적으로 리포지토리(원격저장소)를 생성했습니다.
페이지에 명령문들이 조금 보입니다.

이 부분은 Git을 활용하면서 차차 알아갑니다.
이제 우리의 목표였던 리포지터리를 생성했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langList['bottomThankyou'][$langMode]?>